본문 바로가기

나의 소고

존 낙스(John Knox)의 신학 사상

존 낙스(John Knox)의 신학 사상

2014-11-08 19:52:00


존 낙스(John Knox)의 신학 사상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의 지도자인 존 낙스는 칼빈주의 중심인물로서 제네바에서 칼빈으로 부터 직접 신학 사상을 배웠고 킬빈의 사망후 베자와 함께 칼빈주의를 이끌어간 지도자였다. 낙스는 칼빈으로 부터 많은 신학적 영향을 받고 스코틀랜드로 돌아가 칼빈적 개혁교회를 세운 것이다. 낙스가 처음 칼빈을 접한 때는 아마도 그가 프랑스 노예선에서 중노동을 하면서 프랑스의 프로테스탄트들을 통해서 일 것이다.  낙스는 노예선에서 풀려난 후 웨드워즈 6세 치하의 잉글랜드로 가서 궁정 목사를 하였다가 메리 튜더가 왕권을 잡으면서 제네바로 피신하였는데 이때 칼빈으로 부터 본격적인 개혁신학을 배우게 된다. 낙스는 제네바에 있으면서도 스코틀랜드의 섭정인 기즈의 메리(메리 스튜어드의 모친)를 공격하는 글을 발표하였다.

 

   낙스는 칼빈처럼 구약과 신약의 통일성을 강조하였지만 구약을 중시하고 신정정치의 정치적 행동이나 구조를 구약에서 찾아내려고 하였다. 특히 낙스는 칼빈보다는 츠빙글리처럼 성서의 문자적 해석을 주장하였다. 이런 성서에 대한 낙스의 문자적 해석이 우상적 통치에 대한 강한 저항으로 나타난다. 그래서 낙스는 구약의 사건을 당시 스코틀랜드의 역사적 현실속에서 문자적으로 해석한 면이 보인다.  칼빈은 신정정치(theocracy)를 말했지만 구약적 신정정치를 15세기 제네바 상황에서 실현시키려고 한 것이 아니라 그 시대의 역사적 상황에 맞게 적용시키려고 한 반면에 낙스는 구약적 신정정치를 16세기 스코틀랜드 상황에 그대로 적용시키려고 하였다. 예를 들면 낙스는 여성 통치자를 인정하지 않는 구약적 정치이념을 주장하고 스코틀랜드를  구약적 이스라엘의 거울로 생각하였다. 그는 구약속에 나타난 하나님의 불변성과 주권이 16세기 스코틀랜드에 그대로 적용된다고 간주하고 자신을 히브리적 예언자 모델로 생각하였다.

 

    칼빈은 하나님의 주권(sovereignty)를 강조하지만 낙스는 하나님의 불변성(immutability)을 강조한다. 물론 하나님의 불변성은 하나님의 주권에 관계되어 있지만 낙스는 하나님의 불변성을 특히 강조함으로서 칼빈주의의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였다. 하나님의 불변성이 낙스의 정치사상에 핵심을 이루는데 낙스는 하나님이 구약에서 역사하신 것 처럼 불변하시는 하나님이 지금도 역사와 인간의 모든 문제에 개입하시고 섭리하신다고 믿었다. 그래서 낙스는 스코틀랜드의 모든 사건을 구약성서의 사건과 연결시켜 해석하였다. 낙스는 하나님은 불변하시는 자신의 본성에따라서 모든 시대에 똑같은 상황에서 똑같은 방법으로 응답하신다고 믿었다. 

 

    낙스는 칼빈과 마찬가지로 인간이 전적으로 타락하고 부패하여 하나님의 형상을 잃어버렸다고 주장하였는데 칼빈이 일반계시 혹은 자연계시적 차원에서 인간이 부분적으로나마 하나님의 형상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국가와 민족, 과학과 예술, 문화를 발전시키는 능력을 인정한 반면에 낙스는 타락한 인간은 시민적 정의를 실현시킬 능력도 상실하였음을 강조하면서 칼빈보다 더욱 비관적인 인간관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낙스는 세속 정부에 대한 저항은 죄가 아니라고 생각하였고 하나님의 뜻을 거스린 죄악된 정부에 항거하는 것이 기독교인의 의무라고 주장하였다.  이런 면에서 낙스는 16세기 종교지도자들이 하나님께 복종하기 보다는 죄악을 저지르는 세속정부에 굴복하고 있다고 비판하였다.  그에게 악에 대한 적극적 저항의 원리와 세속 권력에 대한 혁명 이론은 동의어가 되었다.  그래서 낙스는 국가와 교회가 모두 하나님께 충성하는 계약 관계를 강조하여 먼저 통치자와 백성의 계약  그리고 하나님과 백성의 계약을 이중적을 맺어야 한다고 하였다. 결국 낙스는 교회와 국가의 관계 모델도 구약에서 찾으려고 하였고 구약의 계약민족의 모습을 스코틀랜드에서 구현하려고 하였다.

 

   결국 낙스는 제네바의 칼빈주의를 실현 모델로 생각하여 제네바의 종교개혁을 자신의 인격과 경험에 비추어 재현시킨 더욱 급진적인 계약 칼빈주의를 스코틀랜드에서 실현하려고 하였다. 루터의 독일이나 칼빈의 제네바, 그리고 영국의 경우, 정치 권력자들이 모두 그러한 종교개혁이 가능하도록 정치적으로 협력한 반면에 스코틀랜드에서는 권력을 잡은 정치지도층이 로마카톨릭주의자들이었다. 그래서 낙스는 불가피하게 국가 권력에 저항하는 쪽으로 갈 수 밖에 없었을 것이고 그런 상황이 낙스의 신학 사상을 칼빈보다 더욱 급진적으로 만들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