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소고 썸네일형 리스트형 아나뱁티즘에 대한 소고 아나뱁티즘에 대한 소고 참고서적 : 스튜어트 머레이 “이것이 아나뱁티스트다(The Naked Anabaptist)” 존 D. 로스 “ 믿음(메노나이트의 신앙과 실천)” 1. 크리스텐덤(Christendom)과 포스트 크리스텐덤(Post- Christendom) 아나뱁티즘을 이야기할 때 빼 놓을 수 없는 단어가 크리스텐덤이다. 왜냐하면 16세기에 시작된 아나뱁티즘은 크리스텐덤에 대한 반대로부터 촉발되었기 때문이다. 그들은 크리스텐덤을 근본적으로 비성경적 비복음적 체계로 간주했고 그 속의 비성경적, 비기독교적인 교리들과 행동양식들을 거부했다. 그들은 크리스텐덤이 예수를 신앙의 중심에서 변두리로 몰아냄으로써 기독교 신앙을 심각하게 변질시켰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크리스텐덤이 교리와 신조를 강화하고 예수의 삶과 .. 더보기 신약의 기독론 신약의 기독론 PERSONAL Reflection Essay 1. 왜 기독론에 대한 역사적 탐구가 필요한가? 이미 기독론은 완성되었는데, 굳이 기독론의 형성에 대한 역사적 탐구가 필요한가? 이미 완성된 기독론을 믿으면 그만 아닌가? 이렇게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이미 완성된 기독론을 바르게 믿기 위해서는 기독론의 형성에 대한 역사적 인식이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기독교는 갑자기 하늘에서 떨어진 초자연적 계시에 의해서가 아니라 역사를 통하여, 역사 가운데 형성된 역사적 종교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미 완성된 기독론에 대한 역사적 배경을 이해할 때 우리는 기독론에 대한 맹목적인 신앙이 아닌 역사에 기초한 균형 있고 깊이 있는 신앙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기독론은 흔히 조직신학의 한 분과로 취급되지만 사실.. 더보기 칼빈의 율법관 칼빈의 율법관 2016-01-16 23:55:30 칼빈은 율법을 십계명뿐만 아니라 모세를 통하여 하나님이 전수하신 신앙의 모든 형식으로 넓게 이해한다. 그래서 모세가 율법 제정자로 세워진 것은 아브라함의 자손들에게 약속된 축복을 제거하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율법을 통해 조상들에게 값없이 주어진 약속을 확인하고 유대인들이 바로 그 언약의 상속자임을 상기시키는 것이라고 말한다. 결국 율법이 주어진 것은 택한 백성들이 그리스도로 부터 멀어지게 만드려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가 오시기까지 마음의 준비를 갖추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는 얘기이다. 그리스도를 찾기 위한 참되고도 유일한 준비는 사람들이 자기들의 정죄받은 처지를 납득하고 자신을 완전히 낮추는 것인데 율법이 바로 이런 기능을 한다는 것이다. 율법을 완전히 .. 더보기 복음에는 하나님의 의가 나타남 복음에는 하나님의 의가 나타남 2016-01-16 23:48:02 로마서에는 "하나님의 의"에 대한 유명한 선포가 나오는데 그것은 "복음에는 하나님의 의가 나타나서 믿음에서 믿음에 이르게 한다"는 말이다. 그러면서 뒤따라 나오는 말이 하박국서를 인용한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살리라"는 말이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복음에 나타난 하나님의 의와 의인의 믿음이 매우 밀접한 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언급이다. 복음에 나타난 하나님의 의와 의인의 믿음은 무슨 관계인지 생각하지 전에, 먼저 우리는 하나님의 의에 대하여 생각해 보아야 한다. 이미 대부분의 성경학자들이 동의하듯이 성경에서 말하는 "의"라는 개념은 개인의 도덕적 정의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관계적 개념이다. 그러니까 의롭다는 것은 관계를 맺은 상대방에 .. 더보기 달란트 비유의 맥락(마태복음 24-25장) 달란트 비유의 맥락(마태복음 24-25장) 2016-01-16 23:22:44 제자들이 왜 성전건물을 가리켜 보이려고 했는지는 모르지만 아마도 변방인 갈릴리에 살던 제자들에게 예루살렘 성전의 웅장함과 화려함은 그들의 이목을 끌기에 충분했을 것이다. 이런 제자들에게 예수님은 성전의 완전한 파괴라는 충격적인 말씀을 던지신다. 왜 예수님이 그런 말씀을 제자들에게 하셨을까? 예수님이 예루살렘에 입성하시자 즉시 일어난 성전청결 사건은 성전에 대한 예수님의 태도를 짐작케 한다. 그것은 성전은 이미 타락할 대로 타락하여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언약적 임재라는 본래적 의미를 상실한지 오래라는 것을 보여주고 결국 성전파괴의 언급은 성전이 더 이상 존재할 이유가 없다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그런데 제자들은 성전파괴에 대한 말.. 더보기 세월을 아끼라 세월을 아끼라 2016-01-16 21:04:38 그런즉 너희가 어떻게 행할지를 자세히 주의하여 지혜없는 자같이 하지말고 오직 지혜있는 자 같이 하여 세월을 아끼라 때가 악하니라 그러므로 어리석은 자가 되지 말고 오직 주의 뜻이 무엇인가 이해하라(엡 5장 16-18) 새해를 맞이했다. 시간은 우리의 것이 아니라 주어진 것이다. 그리고 시간은 곧 생명이기도 하다. 문제는 시간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이다. 시간을 주신 분이 하나님이시라 믿는다면 우리는 그 분의 뜻에 맞게 시간을 사용해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도둑질 하는 것이다. 에베소서는 지혜로운 삶이 세월을 아끼는 것이라고 가르친다. 세월을 아낀다는 말은 직역하면 시간을 구속한다는 뜻이다. 그런데 시간을 구속해야 하는 이유는 때가 악하기 때문이라고.. 더보기 언약의 조건성과 무조건성 언약의 조건성과 무조건성 2015-10-21 17:12:01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언약은 조건적이기도 하고 무조건적이도 하다. 이것은 논리적으로 모순이 듯 하지만 언약의 상대방이 사람이 아닌 하나님이시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사람간의 모든 언약은 조건적일 수 밖에 없다. 즉 언약의 일방이 언약조건에 충실해야 한다는 조건으로 그 언약은 맺어지고 유지되는 것이다.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언약에도 이런 조건성이 당연히 있고 언약에 신실하신 하나님은 당연히 이스라엘에게도 그 언약에 신실할 것을 요구하신다. 그리고 이스라엘이 언약에 신실하지 여부는 언약의 조건으로 주어진 율법에 대한 순종을 근거로 판단된다. 하나님은 언제나 언약에 신실하시므로 이스라엘이 언약에 신실하기만 하다면 언약으로 맺어진 그 관계에는 아무런.. 더보기 창조와 창조신앙 창조와 창조신앙 2015-05-01 22:33:07 성경의 첫머리에 시작되는 창조 이야기는 뒤이은 모든 성경의 이야기의 배경이 된다. 세상을 창조하신 하나님, 하나님이 창조하신 선한 세상이라는 주제는 기독교 신앙의 근원적 출발점이다. 그러므로 창조신앙이야말로 기독교 신앙의 핵심중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창조는 비과학적이며 현대 사회의 과학적세계관과 양립하거나 공존하기 어렵다는 생각이 널리 퍼져있다. 이런 분위기가 형성된데는 기독교인들이 무리하게 시도된 성경해석을 마치 과학적 사실인양 과도한 주장을 펼친 것이 결정적인 원인이 되었다. 예를 들면 성경을 근거로 지구가 평평하다고 주장한 것이나 아담의 창조 연대는 주전 4천년경이라는 주장이 그것이다. 과학의 발전에 따라 이런 주장은 잘못된 것임이 밝.. 더보기 이전 1 2 3 4 ··· 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