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약성경/사무엘하

사무엘하 24장 인구조사 사건 사무엘하 24장 인구조사 사건 Tolle Rege/사무엘하 2011-07-12 19:35:12 사무엘하 마지막은 인구조사 사건으로 마무리 된다. 다윗의 왕권이 견고해진 것에 대한 보고 이후에 인구조사 사건이 나타난 것을 보면 이 두가지가 무관한 것 같지 않다. 다윗이 왜 인구조사를 하려고 했는지 그리고 요압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강행을 하였는지 그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아마도 왕권이 견고해진 후에 전쟁을 앞두고 군사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 것이 아니었을까 추측을 해본다. 다윗은 백성을 조사한 후에 자책하고 자신의 범죄를 인정하고 고백하였다. 자신이 심히 미련하게 행한 것을 시인한 것이다. 인구조사 자체가 죄악은 아니겠지만 인구조사를 행한 그 동기가 문제시 되었을 것이다. 하나님은 선지자 갓을 보내어 3가지.. 더보기
사무엘하 23장 다윗의 결론 사무엘하 23장 다윗의 결론 Tolle Rege/사무엘하 2011-07-12 19:20:14 다윗은 자신이 이새의 막내 아들이 미천한 자였으나 여호와께서 자신을 기름 부어 높이 세우셨고 여호와의 영이 자신을 통하여 통하여 말씀하심을 고백하고 있다. 이스라엘의 왕으로서 다윗이 내린 결론은 한가지였다 .하나님이 이스라엘의 왕된자에게 요구하시는 것은 사람을 공의로 다스리는 것이었다. 이것은 자기 소견을 버리고 하나님의 법을 쫓아 다스리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하나님을 경외함으로 다스리는 것이다. 하나님의 법의 법정신이 하나님을 경외하는 것임을 분명히 보여준다. 그렇게 할 때 그 왕은 돋는 해의 아침 빛 같고 구름없는 아침 같고 비내린 후 광선으로 움트는 새풀과 같이 생명력이 넘치게 된다는 것이다.. 더보기
사무엘하 22장 다윗의 찬송시 사무엘하 22장 다윗의 찬송시 Tolle Rege/사무엘하 2011-07-12 18:56:16 여호와께서 다윗을 모든 원수의 손과 사울의 손에서 구원하신 그 날에 다윗이 노래를 지어 하나님을 찬송하였다. 그는 자신의 경험을 통하여 여호와 하나님이 누구이신지를 절실하게 제험한 사람이었다. 하나님은 이렇게 구체적인 역사를 통하여 자신이 누구이신지를 드러내신다. 그러므로 하나님에 대한 지식은 사색적이 아니라 경험적인 것이다. 다윗의 노래는 자신이 경험한 하나님에 대한 고백이며 감사요 찬송인 것이다. 이 노래는 자신을 향하여 하나님이 행하신 모든 언약적 행동에 대한 진실된 반응인 것이다. 다윗이 경험한 하나님은 그의 반석이시며 그의 요새이시며 그의 방패이시며 구원의 뿔이시고 높은 망대이시며 피난처이시며 그의 구.. 더보기
사무엘하 21장 사울집안의 멸망 사무엘하 21장 사울집안의 멸망 Tolle Rege/사무엘하 2011-07-12 18:06:37 사울 집안에 대한 기브온 거민의 원한의 문제가 기록되었다. 기브온 거민은 여호수아 시대에 이스라엘이 여호와의 이름으로 맹세하고 조약을 맺었기 때문에 기브온 거민을 죽여서는 안되는데 사울 당시에 무슨 이유인지는 모르지만 사울이 기브온 거민을 학살하고 그들을 이스라엘 영토에 머물지 못하도록 박해를 하였다. 그래서 기브온 거민들은 사울에 대하여 깊은 원한을 갖게되었고 사울의 행동은 분명 여호와를 거슬린 것이었다. 다윗 시대에 삼년간 기근이 있었는데 그 원인은 기브온의 피를 흘린 사울과 그의 집으로 말미암은 것이 밝혀졌고 이 일로 인하여 다윗은 사울 집안의 남은 자 7명을 기브온 거민에게 내어주어 원한을 풀도록 하였.. 더보기
사무엘하 20장 다윗의 왕권회복 사무엘하 20장 다윗의 왕권회복 Tolle Rege/사무엘하 2011-07-12 17:50:10 유다지파와 이스라엘 다른 지파들이 다윗의 귀환 문제로 갈등이 발생하는 틈을 타서 베냐민 지파의 세바라는 자가 반란을 일으키고 이에 온 이스라엘은 다윗 따르길 그치고 세바를 따랐고 유다 지파는 다윗과 합하여 요단에서 예루살렘까지 따랐다. 다윗은 세바의 무리를 제압하기 위하여 아마사에게 유다 지파의 군대를 모으라고 지시하였지만 아마사는 요압에게 죽임을 당하고 결국 요압과 그의 동생 아비새가 이끄는 군대가 세바의 무리를 진압한다. 압살롬에 이어 세바의 반란으로 이스라엘의 디란 지파와 유다지파간의 내전이 두번이나 발생하였고 결국 유다 지파의 승리로 끝나면서 이스라엘에서 유다 지파의 위치는 더욱 강력하여졋다. 이후에 .. 더보기
사무엘하 19장 다윗의 귀환 사무엘하 19장 다윗의 귀환 Tolle Rege/사무엘하 2011-07-12 17:42:13 압살롬이 죽은 후 압살롬을 따랐던 북방의 지파들은 다윗을 모셔오는 일을 망서리고 있었다. 왜냐하면 자기들이 압살롬을 기름부어 왕으로 삼은 일이 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다윗은 유다 지파에게 자신의 귀환 준비를 주도하도록 독려하였고 듀다 지팢는 마음을 하나같이 기울에 다윗의 귀환을 수행하였다. 그런데 왜 다윗이 압살롬의 군대 장관으로서 반역에 가담했던 아마사를 요압 대신에 지휘관으로 세우려고 했는지는 확실치 않으나 아마도 요압을 견제하려고 한 것 같다. 그러나 다윗의 이런 행동은 결국 요압이 반발하여 아마사를 죽이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다윗이 귀환할 때 다윗을 모욕하던 시므이가 왕의 앞으로 나아와 자신의 죄악의 용.. 더보기
사무엘하 18장 압살롬의 죽음 사무엘하 18장 압살롬의 죽음 Tolle Rege/사무엘하 2011-07-12 06:40:01 드디어 전열을 가다듬은 다윗의 군대와 반역의 무리와의 한판 전쟁이 시작되었다. 백성들이 다윗에게 전쟁에 나가지 말라고 한것은 다윗의 생명을 귀중히 여긴 충성심이었지만 다윗을 귀히 여기시는 하나님의 인도하심의 결과였을 것이다. 다윗이 자기의 군대 장수에게 압살롬을 너그러이 대접하라는 것은 그의 목숨은 해치지 말라는 인간적인부탁이었을 것이다. 그는 여전히 압살롬에 대한 아비로서의 사랑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니 하나님이 자신을용서하시고 긍휼히 여기신 것 처럼 그도 압살롬을 향하여 동일한 심정이었을 것이다. 압살롬의 군대는 대패하였고 압살롬은 왕의 명령을 거부한 요압에 의하여 죽임을 당한다. 요압은 결과적으로 압살롬에 .. 더보기
사무엘하 17장 아히도벨의 모략 사무엘하 17장 아히도벨의 모략 Tolle Rege/사무엘하 2011-07-12 06:32:26 다윗을 엄습하여 쳐죽이려는 아히도벨의 모략은 실패한다. 이전에도 그랬듯이 그의 모략은 인간적 차원에서는 휼륭한 것인지 모르지만 이번에도 하나님의 기름 부은 왕을 쳐죽이려는 것이므로 결국 하나님을 대항하는 모략인 것이다. 하나님은 아히도벨의 모략을 파해주시라는다윗의 기도를 들으셨고 그래서 후새의 모략이 채택되도록 만드셨다. 여호와께서 압살롬에서 화를 내리려 하사 아히도벨의 좋은 모략을 파하기로 작정하신 것이다. 이렇게 압살롬은 스스로 파놓은 구덩이에 던져질 것이다. 아비도벨은 자기 모략이 시행되지 못함을 보고 고향으로 돌아가 스스로 목매어 죽는다. 그는 압살롬의 반역이 실패할 것을 내다본 것이리라. 후새의 모략..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