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네상스
2014-10-15 12:34:09
14세기의 르네상스는 서양 기독교 역사의 전환점이었다. 오늘날 서유럽 국가들이 세속화하고 기독교 영향력이 쇠퇴한 것의 원인이 르네상스라고 볼 수 있다. 1453년에 오스만 제국에 의해 동로마 제국이 멸망한다. 이 때는 서로마 제국은 476년에 일찌감치 멸망하고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로 구성된 프랑크 왕국을 거쳐서 신성로마제국이라는 형식적인 통일을 이루고 있었던 때이다. 로마제국의 동서 분열이후 서유럽은 그리스 문화권에서 단절되었고 라탄어 중심의 문화를 형성하였다. 결국 서방세계는 그리스 문명의 전통을 알지 못하게 된 것이다. 그리스 문화는 동방세계에서만 보존되어 왔던 것이다. 그런데 1453년에 동로마 제국이 멸망하면서 동로마 제국의 학자들 다수가 서로마로 피난을 하였고 이때 많은 그리스 고전문헌들이 서유럽으로 유입된다. 그동안 서유럽은 동로마에 대한 문화적 열등감이 있었는데 그리스 고전 문화가 대량 유입되자 서유럽에는 헬라어로 기록된 그리스 고전을 읽으려는 열풍이 일어났고 고대 그리스의 사상과 문화를 습득하게 된다. 그리스 사상은 인간 중심의 사상으로서 육체와 물질을 존중하였고 기독교의 인간간과 전혀 다른 긍정적 인간관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서방세계는 인간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인간 탐구를 중시하는 인본주의 사상이 발전하기 시작한다.이 당시에 고대 문헌으로 돌아가려고 한(Ad fontes) 사람들을 휴머니스트라고 부른다. 이들은 인간에 대한 긍정적 이해를 하고 인간 존재가 합리적인 존재임을 인식하게 되는데 이는 전통적인 중세 기독교 신학의 인간관과 대치되는 인간관이었다.
그리스어를 습득하게 되면서 헬라어 신약 성경을 읽게 된 것은 확기적인 일이었다. 그 결과 불가타 성경의 번역 오류가 발견되었고 불가타 성경에 의존하엿던 중세 교회의 권위도 상처를 입게된다. 이때 네델란드 출신인 노틀담의 에라스무스가 등장하는데 그는 헬라어와 히브리어에 능통한 르네상스 최고의 인문학자였다. 그는 헬라어로 기록된 신약성경의 여러 사본들을 모아서 헬라어 신약 성경을 출판하였는데 이리하여 서유럽에 최초로 원어 신약 성경이 등장하게 되었다. 루터, 쯔빙글리, 칼빈 등 주요 종교개혁자들이 모두 이 신약 성경을 연구하였고 불가타 성경에 기초한 로마 교회의 권위에 도전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들은 로마 교회를 비판하는 근거로 헬라어 신약 성경을 인용함으로써 중세 기독교를 재구성하는 출발점이 되었다. 동로마 제국의 멸망은 서방세계에 르네상스를 불러일으켰고 이것이 중세의 몰락을 가속화시켰으며 결과적으로 서방 교회를 새롭게 하는 결과를 초래한 것이다. 르네상스의 정신은 후일 18세기 계몽사상으로 발전하였으며 1517년부터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30년 전쟁이 끝난 해)까지 130년 동안 계속된 유럽의 종교전쟁의 원인이 된다. 1776년 미국의 독립, 1789년 프랑스 혁명, 이 어간에 계몽주의가 출현하는데 이는 계속된 유럽의 종교전쟁으로 종교에 대한 반발로 인한 것이다 이때과 이성에 대한 확신으로 말미암은 이신론이 등장하고 프랑스와 미국에서는 정교분리를 헌법에 명시하였으며 이성에 대한 강조는 종교를 이성으로 통세할 필요성을 주장하게 된다. 종교로 인한 폐해를 경험하지 않은 미국에서보다 종교 전쟁을 경험한 유럽에서 계몽주의가 크게 영향을 미친 이유가 여기에 있을 것이다.
14세기에 르네상스는 로마 카톨릭의 쇠퇴를 가속화시켰는데 이때 교권의 추락을 상징하는 사건이 아비뇽 유수 사건이다. 교회에 재물이 집중되면서 세속 권력은 교회의 재물에 관심을 갖게되고 그 결과 교권과 세속권력간에 서임권 투쟁을 비롯한 갈등이 일어나게 된다. 이 당시에 서 유럽의 강력한 세속권력은 독일을 중심으로 한 신성로마제국과 프랑스였는데 교회의 재물을 탐하던 프랑스 왕이 교황을 납치하여 아비뇽이 감금시킨 것이다. 이 사건으로 교황의 권위가 추락하고 세속 권력에 조롱을 당하게 됨으로써 교회에 대한 존경심이 추락하게 된다.
질문1
르네상스가 근본적으로 그리스 문화로 돌아가려는 운동이었다면 르네상스의 영향을 받은 종교개혁에 그리스적 요소가 많이 유입되었다고 볼 수 있는지요? 있다면 어떤 것인가요?
질문2
교회 역사에서 정교분리의 전통은 비교적 짧은 것이라보 보이는데 세속권력에 의해 수립된 정교 분리의 전통이 교회에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요?
'나의 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사제도와 왕정제도 (0) | 2023.05.06 |
---|---|
16세기 종교개혁 (0) | 2023.05.06 |
중세의 수도원 운동 (0) | 2023.05.06 |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 (0) | 2023.05.06 |
왜 믿음인가? - 갈라디아서와 성령 (0) | 2023.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