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아나뱁티즘에 대한 소고 아나뱁티즘에 대한 소고 참고서적 : 스튜어트 머레이 “이것이 아나뱁티스트다(The Naked Anabaptist)” 존 D. 로스 “ 믿음(메노나이트의 신앙과 실천)” 1. 크리스텐덤(Christendom)과 포스트 크리스텐덤(Post- Christendom) 아나뱁티즘을 이야기할 때 빼 놓을 수 없는 단어가 크리스텐덤이다. 왜냐하면 16세기에 시작된 아나뱁티즘은 크리스텐덤에 대한 반대로부터 촉발되었기 때문이다. 그들은 크리스텐덤을 근본적으로 비성경적 비복음적 체계로 간주했고 그 속의 비성경적, 비기독교적인 교리들과 행동양식들을 거부했다. 그들은 크리스텐덤이 예수를 신앙의 중심에서 변두리로 몰아냄으로써 기독교 신앙을 심각하게 변질시켰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크리스텐덤이 교리와 신조를 강화하고 예수의 삶과 .. 더보기
신약의 기독론 신약의 기독론 PERSONAL Reflection Essay 1. 왜 기독론에 대한 역사적 탐구가 필요한가? 이미 기독론은 완성되었는데, 굳이 기독론의 형성에 대한 역사적 탐구가 필요한가? 이미 완성된 기독론을 믿으면 그만 아닌가? 이렇게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이미 완성된 기독론을 바르게 믿기 위해서는 기독론의 형성에 대한 역사적 인식이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기독교는 갑자기 하늘에서 떨어진 초자연적 계시에 의해서가 아니라 역사를 통하여, 역사 가운데 형성된 역사적 종교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미 완성된 기독론에 대한 역사적 배경을 이해할 때 우리는 기독론에 대한 맹목적인 신앙이 아닌 역사에 기초한 균형 있고 깊이 있는 신앙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기독론은 흔히 조직신학의 한 분과로 취급되지만 사실.. 더보기
『창세기 1장의 잃어버린 세계』 (존 H. 월튼) 『창세기 1장의 잃어버린 세계』 (존 H. 왈튼) 서론~ 구약 성경은 현재 우리와 소통할 뿐 아니라 우리를 위해 기록되었으며, 모든 인류를 위해 기록되었다. 그러나 우리를 향해 기록되지 않고 이스라엘을 향해 기록되었다. 성경은 이스라엘을 향한 하나님 자신의 계시이며, 이스라엘을 통하여 이차적으로 다른 모든 이에게 주어진 계시이다. 이것이 명백한 사실인 만큼 우리는 이 간단한 진술이 암시하는 바를 잘 알아야 한다. 다른 문화권에 전달되었고 다른 언어로 기록된 문헌을 우리가 알고 완전히 이해하기 원한다면 그 언어와 함께 문화도 번역해야 한다. 그러나 그 누가 문화를 번역하려 드는 순간 그 텍스트가 결코 말하려고 의도하지 않았던 것을 만드는 위험을 안게 된다. 그래서 우리는 문화를 번역하기보다 오히려 문화 속.. 더보기
단숨에 읽는 바울- 존 바클레이 3장 바울과 유대전통 바울의 신학은 무수히 많은 방식으로 유대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특히 여러 수준에서 유대 경전에 철저하게 의존한다. 성경의 거대한 서사적 구조와 심오한 신학적 주제들은 바울이 마음껏 사고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해 주었다. 바울은 유대인들을 날카롭게 비판함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포기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스라엘의 메시아인 그리스도 안에서 일어난 사건은 바울에게 있어 이스라엘과 열방을 향한 하나님의 약속의 성취다. 다시 말하면 바울은 유대전통 안에 속해 있지만 결정적인 순간이 도래했다는 확신을 가진 이후부터는 그의 독특한 해석을 전개해나갔다. 사실 바울이 활동하던 시기에는 많은 유대교 분파가 존재하고 있었는데 다양한 문화의 영향을 받고 있었던 당시 유대인들은 그들의 경전을.. 더보기
예수는 어떤 공동체를 원했는가? -게르하르트 로핑크 예수는 어떤 공동체를 원했는가? 게르하르트 로핑크 [나] 예수와 제자들 예수의 생각은 유난히 이스라엘과 관련되어 있되, 이스라엘에 한정되어 있지는 않다. 예수에 따르면 이스라엘은 더 큰 목표에 이르는 도정이며 보편적 구원의 징표다. 그렇다면 이제 더 엄밀히 말해서 예수는 모여야 할 이스라엘을, 참 하느님 백성을 어떻게 생각했던가? 바로 이 물음에 대해 예수의 제자교육이 결정적 대답을 준다. 1. 제자단 우리는 이스라엘 안에서 예수의 말씀을 듣고 예수를 믿는 사람들을 원칙적으로 두 부류로 나누어 보아야 한다. 우선 예수의 메시지를 받아들이되 자기기 사는 동네에서 머물면서 하느님나라를 기다리던 그런 사람들이 있다. 이런 성격의 예수 지지자들은 본격적 의미의 제자들과 구별되어야 한다. 예수를 따르는 제자들은 .. 더보기
오경과 구약의 언약신학(4/4)-송제근 13장 민수기의 신학과 메시지 2016-01-23 18:18:16 13장 민수기의 신학과 메시지 민수기는 레위기와 또 그 앞의 출애굽기와 함께 한 단위의 책을 이루어 하나의 궁극적 목적, 즉 약속된 하나님 나라의 씨가 역사속에서 완성되는 것을 나타낸다. 특히 레위기의 뒷부분(레 17-26)과 민수기의 앞부분(민1-10장)은 하나의 목적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그것은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하라’는 하나님의 명령대로 하나님의 거룩이 이제 성막을 중심으로 어떻게 이스라엘 삶의 전반에 나타날 것인가? 하는 것이다. 민수기의 내용을 시간적 관점에서 보면 시간의 흐름과 일치하지 않고 뒤바뀌어 있는데, 민1:1에서 출애굽 2년 2월1일을 먼저 언급하고 다시 7:1과 9:15에서 한달전인 출애굽 2년 1월1일로 소급.. 더보기
오경과 구약의 언약신학(3/4)- 송제근 10장 레위기의 신학과 메시지 2016-01-23 18:12:10 10장 레위기의 신학과 메시지 출애굽기의 전반부(출1-24장)가 언약을 이루는 일이라면 출애굽기 후반부(출25-40장)의 성막을 짓는 일은 전반부에 맺은 언약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레위기는 출애굽기 후반부의 연속으로서 그 성막을 중심으로 언약을 유지하고 갱신하고 발전시키는 일을 기록한 것이다. 출애굽기 후반부는 성막을 중심으로 기구를 준비하는 것이고 레위기는 준비된 기구들 속에서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행동들을 기록한 것이다. 즉 출애굽기가 성막의 건조 자체에 관심이 있다면 레위기는 성막에서의 행동에 초점이 모아져 있는 것이다. 따라서 레위기 전체를 통하여 모든 명령은 증거막 혹은 회막에서 주어졌고 또 시행되었다. 시간.. 더보기
오경과 구약의 언약신학(2/4)- 송제근 5장 출애굽기의 신학과 메시지 2016-01-23 18:02:24 5장 출애굽기의 신학과 메시지 오경은 다섯권이 하나로서 하나님나라가 이 땅에 현현하는 시작과 전개 그리고 예상되는 발전과 그 결과까지를 모두 포괄해서 서술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오경은 이스라엘에 나타난 하나님나라의 모든 기초를 마련하고 그 이후에 그 나라의 역사를 평가하고 결론지을 뿐만 아니라 이후에 나타날 정경들의 의미도 결정짓는다. 오경에 흐르는 주제는 하나님나라는 언약을 통해 이 땅에서 실현된다는 것이다. 창세기에서 마련된 하나님나라의 기초는 출-레-민에서 실현되며 신명기에서 완성된다. 하나님나라라는 긍극적인 목적(ultimate purpose)은 언약(berith)이라는 합당한 역사적인 수단(propoer historical m..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