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성경/열왕기하 썸네일형 리스트형 열왕기하 25장 남조 유다의 멸망 열왕기하 25장 남조 유다의 멸망 Tolle Rege/열왕기하 2011-07-17 20:16:28 바벨론이 세워 놓은 시드기야는 애굽의 힘을 믿고 바벨로을 배반하는 오판을 하였다. 시드기야 제구년 열째달 십일에 바벨론의 느부갓네살이 그의 모든 군대를 거느리고 예루살렘을 치러 올라와서 성 주위에 토성을 쌓고 포위하였다. 예루살렘 성은 시드기야 십일년까지 포위되었고 그해 넷째달 구일에 성중에 양식이 떠러지고 기근이 심해지자 시드기야는 군사를 데리고 성을 빠져 나와 도망하였으나 여리고 평지에서 바벨론 군에게 사로잡히고 말았다. 느브갓네살은 시드기야의 아들을 그의 눈앞에서 죽이고 시드기야의 두 눈을 빼고 놋사슬로 결박하여 바벨론으로 끌고갔다. 여호와의 성전과 왕궁을 불사르고 예루살렘의 모든 집을 불살랐으며 예루.. 더보기 열왕기하 24장 유다 멸망이 임박함 열왕기하 24장 유다 멸망이 임박함 Tolle Rege/열왕기하 2011-07-17 19:53:26 유다의 일련의 사건들은 요사야의 죽음 이후 빠르게 일어났다. 애굽의 바로느고는 요시야를 이어 왕이 된 여호아하스를 석달만에 폐위시키고 요시야의 둘째 아들 여호야김을 왕으로 세우면서 유다에 대한 주도권을 잡으려고 하였다. 여호아히스나 여호야김이나 모두 그들의 조상이 행한 모든 악행을 쫓아 행하였다. 여호야김은 바벨론을 삼년간 섬겼으나 나중에 애굽의 힘을 믿고 바벨론을 배반하였다. 여호야김의 반역에 대한 반응은 신속하였으니 바베론과 아람과 모압과 암몬 군대로 이루어진 연합군의 공격을 받게되었다. 한편 애굽은 바벨론의 힘에 밀려 자기 나라에서 나오지 못하여 아무도 유다를 도와줄 수 없었고 이제 유다의 멸망은 임.. 더보기 열왕기하 23장 요시아의 철저한 개혁 열왕기하 23장 요시아의 철저한 개혁 Tolle Rege/열왕기하 2011-07-17 19:20:16 요시야는 조상의 죄악으로 유다에 내릴 재앙을 피할 수 없다는 예언을 들었지만 그는 끝까지 여호와의 자비에 대한 소망을 가지고 철저한 개혁을 추진하였다. 먼저 그는 유다와 에루살렘의 모든 장로를 모으고 성전안에서 발견한 언약책의 모든 말씀을 무리에게 읽어주었다. 그리고 왕이 단위에 서서 여호와 앞에 언약을 세우되 자신과 백성이 마음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여호와께 순종하고 그의 계명과 법도와 율례를 지켜 행할 것을 결심하고 언약을 갱신하였다. 이렇게 언약갱신이 끝난 다음에 그는 성전안의 바알과 아세라와 일월성신을 위하여 만든 모든 것들을 내어다가 기드론 밭에서 불사르게 하였고 성전 가운데 남창의 집을 헐었다.. 더보기 열왕기하 22장 요시아의 회개 열왕기하 22장 요시아의 회개 Tolle Rege/열왕기하 2011-07-17 18:51:07 아몬의 아들 요시아가 유다의 왕이 되었는데 그는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히 행하여 그의 조상 다윗의 모든 길로 행하고 치우치지 않았다. 그는 성전을 수리하다가 발견한 율법책을 읽고 크게 회개하였다. 그 율법책은 아마도 모세 오경의 일부분일 것 같은데 불순종에 따른 저주 목록이 기록된 것인 듯하다. 요시아는 그 율법책에 기록된 모든 불순종을 지금까지 유다 백성과 왕들이 행한 것을 깨닫고 여호와의 진노가 자신들에게 임박한 것을 알고 두려워 한 것이다. 요시아는 신하들을 여선지자 훌다에게 보내어 하나님의 말씀을 구하였는데 유다왕이 읽은 책의 모든 말대로 유다에 재앙이 내릴 것이 예언되었다. 그러나 요시아에게는 자비가 베.. 더보기 열왕기하 21장 유다 멸망이 예고됨 열왕기하 21장 유다 멸망이 예고됨 Tolle Rege/열왕기하 2011-07-17 18:39:57 이제 북조 이스라엘은 멸망하였으므로 유다의 역사만 기록이 된다. 히스기야를 이어 유다의 왕이 된 므낫세는 유례를 찾아 볼 수 없을 정도로 악행을 저지른 자였다. 그는 히스기야가 헐었던 산당을 다시 세우고 바알의 제단을 쌓고 아세라 목상을 만들며 일월성신을 섬겼다. 심지어는 여호와의 성전에 일월성신의 제단을 쌓고 아세라 목상을 세우며 자기 아들을 불 가운데로 지나게 하며 신접한 자와 박수를 신임하여 여호와의 진노를 촉발하였다. 결국 이스라엘은 인간 왕을 세우기를 원했지만 자신들이 세운 왕으로 말미암아 망하게 되는 것이다. 여호사밧 이래로 유다 왕조에 흘러 들어온 아합의 더러운 피의 영향력에서 유다는 결국 헤.. 더보기 열왕기하 20장 히스기야의 한계 열왕기하 20장 히스기야의 한계 Tolle Rege/열왕기하 2011-07-17 01:50:27 여기 기록된 사건은 앗수르가 예루살렘을 포위하기 직전이나 아니면 포위당하고 있는 중에 일어난 일인 듯하다. "그 때에" 라고 서두가 시작된 것을 보아서 아마도 앗수르에 포위를 당하고 있던 때 인듯 하다. 히스기야가 병이 들어 죽게되었고 하나님은 이사야를 보내어 히스기야가 죽고 살지 못할 것이라고 예언하게 하셨다. 히스기야가 왜 병이 들었는지 모르지만 하나님이 죽을 병이라고 이사야에게 말하도록 한 것으로 보아서 그 병은 여호와께로 말미암은 것으며 히스가야의 회개를 촉구한 것이 아닌가 한다. 그렇다면 하스가야가 앗수를 두려워 하여 금은을 갖다 바친 일과 관련된 것이 아닌가 추측해 볼 수 있다. 히스기야는 자신이 .. 더보기 열왕기하 19장 예루살렘을 구원하심 열왕기하 19장 예루살렘을 구원하심 Tolle Rege/열왕기하 2011-07-17 01:29:08 랍사게의 항복 권유 연설을 전해들은 히스기야는 옷을 찢고 굵은 베를 두르고 여호와의 전에 들어갔고 신하들을 선지자 이사야에게 보내어 유다의 남은 자를 위하여 여호와께 기도해 달라고 부탁하였다. 이사야의 대답은 매우 단호하였다. 여호와의 말씀에 랍사게가 말한 항복권유를 두려워 말라는 것이었다. 그 말은 여호와를 모욕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앗수르는 단순히 유다를 공격한 것이 아니라 여호와를 공격한 셈이 되었다. 이제 전쟁은 여호와의 전쟁으로 비화된 것이다. 산헤립은 본국으로 돌아갈 것이며 본국에서 칼에 죽을 것이 예언되었다. 앗수르 왕은 다시 사자을 보내어 항복을 요구하는 편지를 보내면서 자신들이 멸한 여러 .. 더보기 열왕기하 18장 히스기야의 위기 열왕기하 18장 히스기야의 위기 Tolle Rege/열왕기하 2011-07-17 01:03:04 유다왕 히스기야는 다윗의 행위에 비견할 만큼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히 행하였으며 전후 유다왕 중에 그렇게 여호와를 의지한 자가 없었다고 할 정도로 호평을 받은 왕이다. 그는 여호와께 연합하여 떠나지 않았고 모세에게 명령하신 모든 게명을 지켰다. 그래서 히스기야는 남조 유다의 고질적인 죄악이었던 산당을 제거하고 이스라엘이 분향하던 모세이래의 놋뱀도 부수어 버릴 전도로 철저한 종교개혁을 행한 것이다. 여호와께서 함께 하시므로 그가 늘 형통하였으며 그 당시 최대의 강국인 앗수르 섬기기를 거절하였으며 블레셋도 쳐서 가사와 그 사방을 회복하였다. 그런데 히스기야 제4년에 앗수르 왕 살만에셀이 사마리아를 함락하여 이스라엘.. 더보기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