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브라함 카이퍼의 일반은총- 이상웅
2016-09-26 15:42:10
아브라함 카이퍼의 일반은총(common grace, gratia communis)]
이상웅 교수(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조직신학)
네덜란드 개혁주의 신학자 아브라함 카이퍼(Abraham Kuyper 1837-1920)가 개혁 교회에 선명하게 부각시킨 신학 주제중 하나는 일반은총론(gemeene gratie 허메이너 흐라치)이었다. 이 주제에 대하여 하단에 첨가한 참고문헌을 참고하시기 바란다. 아래의 글은 불완전한 소개글이다. 카이퍼의 일반은총론에 대한 포괄적인 글은 뒤로 미루어둔다.
카이퍼는 자신이 편집하는 주간지 De Heraut지에 일반은총에 대한 기사를 1895년 9월부터 1901년 7월까지 무려 6년 가량이나 연재하였다. 후에 세권으로 출간된 방대한 이 저서의 1권은 일반은총의 역사를 추적하는 성경신학적 연구로서 노아의 언약으로부터 시작해서 신약성경을 총망라하여 다루고 있고, 교리적인 부분인 제2권은 일반은총과 창조, 예정, 세계역사,교회,섭리,재앙,문화등의 관계를 논의하고 있으며, 제3권은 실제적인 문제를 취급하고 있는데, 정부나 교회 그리고 국가,가정,사회와 같은 영역에 일반은총의 개념을 적용하였다[ 최홍석.『교회와 신학』,서울:총신대학출판부,1991, 120].
카이퍼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택자들 만을 위한 구원하는 은총인 특별은총이외에도 일반적으로 하나님의 창조물들에게 베푸시는 일반은총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하기에 비신자들도 비록 그 자체로 구원에 이르게 하는 것은 아니라고 할 지라도 하나님이 은혜를 힘입어서 살아간다는 것이다.
카이퍼의 일반은총론은 베르까워(G. C. Berkouwer 1903-96)교수의 평가에 의하자면 개혁파 교리의 필수적인 교리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카이퍼나 혹은 그의 후임자 H. 바빙크의 일반은총론에 대해서 모든 개혁신학자들이 찬성한 것은 아니었다[H . Bavinck, Algemene genade(Kampen:Zalsman,1894). 이 책은 바빙크의 학장 이임연설문으로서 소책자이다. 차영배교수에 의해 『일반은총론』(서울:총신대학출판부,1979)으로 번역 소개되었다].
사실 이 주제 때문에 금세기 초반의 화란개혁교회(GKN)와 그 영향하에 있는 칼빈신학교와 CRC(기독개혁교단)는 교단 분열이라는 큰 진통을 겪을 수 밖에 없게 된다. 미국 개혁 교단내에서 잘 알려진 헤르만 훜스마(Herman Hoeksema)와 헨리 단호프(Henry Danhof) 목사등은 일반은총론에 대해서 반론을 제기 하였으며, CRC교단은 1924년 총회에서 이 문제를 숙의한 끝에 세가지 요점을 발표하였다:
1) the existence of a general and common grace of God that is shown to all,
2) a restraint of sin by the general work of the Holy Spirit,
3) the ability of unregenerate persons to perform civic good though they are unable to perform any saving good
[Fred H. Klooster,"Louis Berkhof",in Handbook of Evangelical Theologians, ed. W. Elwell(Grand Rapids: Baker, 1993 ),103-104; H. Zwaanstra,"Louis Berkhof",in Reformed Theology in America, ed. D. F. Wells, (Grand Rapids: Eerdmans, 1985),162.]
당시 칼빈신학교의 교수였던 루이스 벌코프(1873-1957)도 이와 같은 결정이 개혁 신학적인 것이라고 추천하였다.그러나 이와같은 총회적인 결정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자신들의 입장을 고수했고, 마침내는 교단 분열에 이르게 되었다. 훜스마와 단호프는 개신교 개혁교단(Protestant Reformed Church)을 창립하기에 이른다.
화란 내에서는 카이퍼의 일반은총론과 몇가지 신학적인 사상에 대해서 강력한 비판의 화살을 퍼부은 사람은 헤르만 바빙크-안토니 호너흐 교수 라인을 이어서 깜뻔 신학교의 교의학 교수가 된 끌라스 스킬더(Klaas Schilder 1890-1952)라는 사람이었다. 물론 개혁파 교단에서 자라난 그는 안티 카이퍼리안은 아니었다. 카이퍼나 바빙크의 신학적인 라인에 서 있으면서도 카이퍼의 치우친 신학사상들을 비판하는 목소리를 높인 것이다.
스킬더는 일반은총이라는 용어 자체부터 반대하였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타락 이후 인간의 역사가 지속된 것은 하나님의 은혜에 기인된 것이 아니다. 그리고 비중생자들 속에 죄를 억제하는 하나님의 은혜는 없다. 또한 일반 은총교리는 인간의 타락에 관해 가르치는 성경의 교훈을 약화시키며 그 결과 두 영역개념으로 인도하는 경향이 있다. 즉 타락된 세계와 병립하여 일종의 중립적인 영역이 존재하게 되며 그 안에선 신앙과 불신앙 사이에 존재하는 반립(antithesis)이 부인되게 된다는 것이다
[최홍석,전게서,122. J. Douma, Algemene Genade,119-204].
이와같은 스킬더의 반론에 대항하여 아브라함 카이퍼의 아들인 H. H. 카이퍼 교수와 바빙크의 자유대학교 후임자였던 V. Hepp 교수 등을 주축으로 하는 총회파들은 1940-1943어간에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결정하였다:
1) 죄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서는 여전히 타락한 세상을 오래 참으심으로 보존하시고 모든 인류에게 선을 베푸신다.
2) 비록 구원을 위해서는 그 빛이 불충분하다고 할 지라도, 하나님께서는 인간속에 창조시에 부여하신 원래적 은사의 작은 조각들과 어떤 본성의 빛을 보유케 하신다.
3) 이러한 남은 조각들과 은사들은 현실적으로 죄를 억제하는데 작용하며 따라서 원래 창조시 부여된 가능성들이 여전히 죄악된 세상속에서 발전될 수 있다.
4) 이러한 방법으로 하나님께서는 과분한 선을 베푸신다. 그러나 그것은 택하신 자들에게 베푸시는 구원하시는 은혜와 구별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결정에 불복한 스킬더와 유명한 성경주석학자 흐레이다너스(S. Greijdanus) 교수등은 마침내 정직당하였으며, 이에 대해 항의하는 수 많은 무리들이 소위 또 하나의 교단을 만들게 되었다(이 교단은 고신측과 교류하고 있다).
* 일반은총론에 관한 주요 참고문헌
Bavinck, Herman, Algemene Genade(Kampen:Zalsman,1894) = 차영배역,『일반은총론』(서울:총신대출판부,1979,2002)
Daane, James. A Theology of Grace: An Inquiry Into and Eval!uation of Dr. C. Van Til's Doctrine of Common Grace(Grand Rapids: Eerdmans,1954)
Douma, Jochem. Algemene Genade: Uiteenzetting, vergelijking, en beoorfeling van de opvattigen van A. Kuyper, K. Schilder en Joh. Calvijn over 'algemene genade'(Goes:Oosterbaan & Le Cointre,1966)(Diss.) 다우마 교수가 칼빈, 카이퍼, 그리고 스킬더의 일반은총론에 대해서 깜뻔 신학교에서 쓴 박사논문이다. 다우마 교수는 모교에서 윤리학 교수로 오랫동안 가르치다가 수 년 전에 은퇴했다.
Engelsma, David J. Common Grace Revisited : A Response to Richard J. Mouw's He Shines in All That's Fair (Grandville, MI, : Reformed Free Publishing Association,2003)
Kuiper, Herman. Calvin on Common Grace(Goes:Oosterbaan & Le Cointre,1928) 칼빈의 일반은총론에 대한 자유대학교 박사논문, 헤르만 카이퍼는 후에 칼빈신학교 교수가 되었다.
Kuyper, Abraham. Gemeene Geratie,3vols.(Kampen:Kok,) 카이퍼의 일반은총론은 1,500쪽이 넘는 방대한 분량이다. 하지만 화란 중고서적상에서 쉽게 그리고 싸게 살수 있는 책이다. 내 기억으로는 25길더(약 12,500원)주고 샀다.
Masselink, William, Common Grace & Christian Education 1951)
_________,General Revelation and Common Grace(Grand Rapids:Eerdmans,1953)
Mouw, Richard J., He Shines in All That's Fair : Culture and Common Grace (Grand Rapids:Eerdmans,2001)
Van Til, Corneilius, Common Grace and the Gospel(Nutley:Presbyterian & Reformed, 1972) 밴틸의 이 책자는 마우나 엘겔스마의 책을 제외한 앞선 논의들 대부분을 다루고 있어서 유용한 입문서 구실을 한다.
헨리 밴틸,[칼빈주의 문화관],이근삼역(성암사,1977) C. 밴틸의 조카인 헨리 밴틸의 종합적인 입문서
'서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눈에 보는 구약- 강휘중 (0) | 2023.05.22 |
---|---|
사도행전: 하나님나라 이야기- 강휘중 (0) | 2023.05.22 |
끌라스 스킬더의 그리스도와 문화관- 고재수 (0) | 2023.05.22 |
바빙크의 성서론- 이동영 (0) | 2023.05.22 |
기독교의 패러다임들 (0) | 2023.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