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소고

우리의 신학적 과제

우리의 신학적 과제

2013-05-29 10:43:30


한국교회가 가지고 있는 세가지 현저한 신학적 태도는 무엇인가?

 

첫째는 비역사적 태도이다. 영혼 구원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생각하며 죽어서 가는 하늘나라를 바라보며 이 땅과 역사 가운데 이루는 하나님나라에 대하여 잘 알지 못하고 무관심하다는 것이다.

 

두번째는 수동적 태도이다.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를 쌍방적 관계가 아니라 일방적인 관계로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종교개혁의 슬로건이었던 오직 믿음, 오직 은혜에 대한 왜곡된 이해가 이런 태도 형성이 일조를 하고 있을 것이다.

 

세번째는 개인주의적 태도이다. 하나님과 개인이 갖는 관계가 가장 중요하고 근본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하나님과 인간이 맺는 관계는 개인적 차원이 아니라 공동체적 차원이며 하나님은 우리를 교회로 부르셨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의 신학적 과제는 한국교회가 가지고 있는 이런 신학적 태도가 매우  비성경적임을 성경을 통하여 증명하는 일이다. 이것은 한국교회를 치유하는 중요한 신학적 작업이 될 것이다.

 

이 땅과 역사 가운데 이루는 하나님나라가 하나님의 궁극적 목적이며 창조목적이라는 진리가 신구약 성경을 관통하는 중대한 계시임을 신구약을 통하여 증명하여야 한다.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는 창조이래 지금까지 일방적이 아니라 쌍방적이라는 진리가 신구약을 관통하는 언약사상의 핵심임을 신구약을 통하여 증명하여야 한다.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는 개체적인 아니라 공동체적이며 공동체를 기초로 하나님나라가 이루어 진다는 진리를 신구약 성경을 통하여 증명하여야 한다.

 

이렇게 될 때 우리는 비역사적이고 수동적이며 개인주의적인 인 한국교회의 신학을 치유하게 될 것이다. 그래서 역사적이고 능동적이며 공동체적인 신학적 태도를 확립하게 될 때 우리는 개인이 아니라 공동체로서 이 땅과 역사 가운데 임하는 하나님나라를 이루기 위하여 능동적인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신학작업에서 고려하여야 할 중요한 두가지 주제는 다음 두가지 일 것이다.

 

첫째는 구약과 신약의 상관관계에 대한 이해인데 이것은 이스라엘 역사의 의미가 무엇이며 또한 예수 그리스도가 누구이신가라는 두가지 질문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요구한다.

 

두번째는 종교와 문화의 관계는 무엇인가 그리고 이것이 하나님의 나라와 어떻게 관련되는가는 질문에 답하는 일이다.

'나의 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리스도는 누구이신가?  (0) 2023.04.30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  (0) 2023.04.30
창조와 그리스도  (0) 2023.04.30
창세기는 무엇을 말하는가?  (0) 2023.04.30
전도지에 나타난 신학  (0) 2023.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