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약성경/베드로전서

베드로전서 5장 은혜에 굳게 서라 베드로전서 5장 은혜에 굳게 서라 Tolle Rege/베드로전서 2013-10-30 15:01:31 마지막으로 교회의 지도자들인 장로들에게 권면하고 있다. 여기서 장로들을 그리스도의 고난의 증인이며 나타날 영광에 참여할 자라고 묘사하고 있다. 이는 교회가 그렇지만 특히 교회의 지도자는 그리스도의 고난에 참여하며 동시에 그 영광에도 참여할 자라는 의식에 투철해야 한다는 의미일 것이다. 동시에 이것은 그리스도의 고난에 참여하는 일과 그리스도의 영광에 참여하는 일은 밀접하게 상관된다는 사상을 보여준다. 장로의 일차적 책무는 하나님의 양 무리를 돌보는 것이다. 하나님의 뜻을 따라서 자원함으로 해야하고 더러운 이득을 위하여 하지말아야 한다. 우리는 여기서 교회는 하나님의 양 무리이지 장로의 양무리가 아님을 분명히.. 더보기
베드로전서 4장 그리스도의 고난에 참여하라 베드로전서 4장 그리스도의 고난에 참여하라 Tolle Rege/베드로전서 2013-10-30 14:57:58 그리스도는 선을 행함으로 고난을 당하셨다. 그러므로 이 세상에서 사는 동안 신자들도 선을 행함으로 고난당할 각오를 해야한다. 그런 고난을 받는 자는 죄를 그친 자이다. 선을 행함으로 고난을 받는 자는 더 이상 사람의 정욕을 따르지 않고 하나님의 뜻을 따라 사는 자이다. 이제 신자들은 이전에 행하던 음란과 정욕과 술취함과 방탕과 향락과 무법한 우상숭배를 다 버렸지만 불신자들은 오히려 그것을 이상히 여겨 비방할 것이다. 하지만 비방하는 그들이 산 자 와 죽은 자를 심판하실 분에게 (의로운 자가 누구이고 불의한 자가 누구인지) 사실대로 고하게 될 것이다. 만물의 마지막이 가까웠으니 정신을 차리고 근신하.. 더보기
베드로전서 3장 선을 행하며 고난을 받으라 베드로전서 3장 선을 행하며 고난을 받으라 Tolle Rege/베드로전서 2013-10-29 22:27:55 신자가 인간 통치자에게 순종하고 종은 주인에게 순종하듯이 아내도 남편에게 순종하여야 한다. 여기서 순종은 언제나 자발성을 전제한다. 왜냐하면 자발성이 결여된 순종은 이미 순종이 아니라 굴종이기 때문이다. 그리스도인의 자유는 오직 자발성을 통해서만 증거될 수 있는 것이다. 특별히 말씀에 순종하지 않는 남편을 둔 경우 아내의 행실(남편에 대한 자발적인 순종과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정결한 행실)로 말미암아 남편이 구원을 얻을 수도 있다. 특별히 여자들은 외모를 꾸미는 화려한 단장 대신에 온유하고 안정된 마음으로 단장하라고 권면한다. 이는 결국 남편에게 온유하고 단정한 마음으로 순종하라는 것이다. 또한 남.. 더보기
베드로전서 2장 그리스도를 본 받으라 베드로전서 2장 그리스도를 본 받으라 Tolle Rege/베드로전서 2013-10-29 20:28:54 앞에서 베드로는 신자의 정체성과 소망이 무엇인지를 말한 이후에 그러므로 모든 악독과 기만과 외식과 시기와 비방하는 말을 버리고 갓난아이들 같이 순전하고 신령한 젖을 사모하라고 권면한다. 여기서 순전하고 신령한 젖이란 앞에서 언급한 하나님의 말씀을 가리킬 것이다. 하나님의 말씀을 씨와 젖, 두가지로 비유하고 있는데 이는 신자의 시작과 성장이 모두 하나님의 말씀으로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하나님의 말씀이 신자의 마음에 씨처럼 심기웠으며 그 씨가 성장하기 위하여 신령한 젖과 같은 하나님의 말씀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성장은 구원에 이르기 위한 것이므로 구원이 결국 하나님의 말씀의 열매일 것이다. 신자들은 이미 .. 더보기
베드로전서 1장 하늘에 간직한 유업 베드로전서 1장 하늘에 간직한 유업 Tolle Rege/베드로전서 2013-10-29 19:00:00 베드로는 자신을 예수 그리스도의 사도라고 간단명료하게 소개한다. 이 편지의 수신자는 소아시아에 흩어져 살고있는 유대인과 이방인 그리스도인이었다. 베드로는 이들은 택하심을 받은 자들인데, 그 택하심이 성삼위의 공동사역, 즉 하나님 아버지의 미리 아심, 성령의 거룩하게 하심, 예수 그리스도의 피뿌리심으로 이루어졌다고 말하고 있다. 우리는 여기서 베드로가 구원을 삼위 하나님의 공동사역으로 말하고 있음을 보게된다. 통상 예수 그리스도를 구원자로 특정하는 것과는 다른 독특한 표현이다. 그만큼 구원에 관한 이런 시각은 총체적이며 구원이 하나님의 창조사역의 일환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또한 피뿌림이란 표현은 구약의 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