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약성경/역대기상

역대상 13장 언약궤 사건 역대상 13장 언약궤 사건 Tolle Rege/역대상 2011-11-01 22:41:51 역대기에서 여부스 정복에 이어 다윗이 한 일로 소개하는 것은 하나님의 궤를 기랏여아림으로 부터 옮겨오는 일이었다. 사울의 때에는 우리가 궤 앞에서 묻지 아니하였다는 말을 한 것으로 보아 다윗이 법궤를 옮기려고 한 이유는 자신이 하나님의 뜻을 따라서 백성을 다스리기 위한 것이었을 것이다. 법궤를 옮기는 중의 웃사의 죽음이라는 불의의 사고로 법궤를 옯기는 일은 일시적으로 좌절되었지만 역대기 기자는 오랫동안 이스라엘이 잊고 있었던 법궤를 옮길 생각을 다윗이 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한 것 같다. 그런데 블레셋과의 전투에서 이기려고 법궤를 앞장 세웠던 이스라엘이 블레셋에게 법궤를 빼앗긴 후 법궤를 잊고 오랜 세월 방치해 놓았던.. 더보기
역대상 12장 다윗 왕의 용사들 역대상 12장 다윗 왕의 용사들 Tolle Rege/역대상 2011-11-01 00:15:21 역대기는 계속하여 각 지파에서 다윗을 도운 자들을 소개하는데 그 의도는 다윗에 대한 그들의 헌신적인 도움이 모두 여호와께서 다윗과 함께 하시므로 주어진 것임을 ㅂ말하려는 것이다. 심지어는 사울이 속한 지파인 베냐민 지파에서도 다윗이 사울을 피하여 시글락에 숨어있을 때에 그에게 와서 싸움을 도운 용사들이 있었다는 것이다. 또한 갓 지파에서도 유능한 용사들이 다윗이 유대광야 요새에 있을 때에 돌아왔으며 베냐민과 유다 자손중에서도 요새에 이르러 다윗에게 나왔는데 그 때에 성령이 삼십명의 우두머리 아마새를 감동시키시므로 그들의 마음이 다윗에게 속하게 됨으로 그들은 군대의 지휘관이 되어 다윗을 도왔다는 것이다. 그들은 .. 더보기
역대상 11장 다윗 왕의 등장 역대상 11장 다윗 왕의 등장 Tolle Rege/역대상 2011-10-31 23:58:32 다윗이 이스라엘의 왕이 된 후에 한 일중에 역대기 기자가 강조하는 일은 여부스 곧 예루살렘을 정복한 것이었다. 여부스 사람들이 사는 성은 견고하여 이스라엘에 오랜 세원을 정복하지 못하였고 정복한 엄두도 내지 못하였던 곳이었데 다윗이 이 성을 점령하여 이스라엘의 수도로 삼은 것이다. 또한 역디기 기자는 다윗에게 충성된 30명의 용사의 우두머리들이 있었음을 기록하고 있는데 그들은 다윗을 힘껏 도와서 나라를 얻게하고 그를 세워 왕으로 삼은 공신들이었다. 이 30 우두머리중에 세사람은 다윗을 위하여 자기 생명을 내어놓고 블레셋 군대를 돌파하여 다윗이 마시고자 한 베들레헴 우물물을 길어올 정도로 다윗에게 목숨을 걸고 충성.. 더보기
역대상 10장 사울왕의 죽음 역대상 10장 사울왕의 죽음 Tolle Rege/역대상 2011-10-31 23:48:28 역대기는 사울이 왕이 된 것과 이스라엘을 다스린 내용에 대해서는 기록하지 않았으니 이는 역대기 기자의 관심사가 아니었기 때문이었다. 기자에게 사울의 존재는 무의미할 뿐이며 단지 주인공인 다윗이 등장하기전에 잠시 스쳐가는 존재였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는 사울의 행적을 기록하지 않고 대신에 사울과 그의 세아들과 그 온집안이 함께 죽어가는 처참한 모습은 자세히 묘사한다. 그리고 사울의 죽음의 원인은 블레셋이 강대해서가 아니라 그가 여호와께 범죄하였기 때문이라고 간단하게 결론을 내린다. 그러므로 여호와께서 사울을 죽이신 것이며 그 나라를 빼앗아 이새의 아들 다윗에게 주었다고 한 것이다. 하나님나라의 역사에서 사울의 역사는.. 더보기
역대상 9장 귀환 공동체의 구성원 역대상 9장 귀환 공동체의 구성원 Tolle Rege/역대상 2011-10-30 19:56:29 온 이스라엘의 계보에 대한 언급을 마친 후 역대기 기자는 온 이스라엘 중 귀환 공동체의 구성원이 누구인지에 대하여 기록하기 시작한다. 귀환 공동체의 최초의 중심세력은 제사장들과 레위인들 그리고 성전의 종들인 느디님 사람들이었다. 이들이 귀환공동체의 최초의 구성원이었다는 언급은 제사제도가 귀환공동체의 구심점이었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들 외에 귀환공동체를 구성한 지파들은 유다 지파와 베냐민 지파가 중심이 되었고 그외에 북방 지파출신인 에브라임과 므낫세 지파도 있었다. 이어서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 그리고 회막 문지기 가운데 예루살렘에 정착한 사람들의 명단이 기록되었는데 이는 이들이 예루살렘에 거주하면서 중건된.. 더보기
역대상 8장 베냐민 지파의 계보 역대상 8장 베냐민 지파의 계보 Tolle Rege/역대상 2011-10-30 19:56:02 베냐민 지파의 계보는 7장에서 다른 지파들과 함께 간단하게 기록되었는데 8장에서 다시 베냐민 지파의 계보에 대하여 좀 더 포괄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이는 아마도 다음두가지 이유일 것이다. 첫째는 베냐민 지파는 유다 시므온 지파와 함께 남왕국 유다의 중심적인 지파였으며 포로기 이후 귀환 공동체에서도 유다 지파와 함께 중요한 지파이였기 때문일 것이다. 둘째는 역대기 기자는 다윗 계보의 역사를 서술하기 위하여 베냐민 지파인 사울 왕의 통치 말기 부터 시작하는 역사 기록의 무대를 설정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더보기
역대상 7장 나머지 지파들의 계보 역대상 7장 나머지 지파들의 계보 Tolle Rege/역대상 2011-10-30 19:55:27 이스라엘의 나머지 지파들인 잇사갈, 베냐민, 납달리, 므낫세, 에브라임, 아셀 지파의 계보가 기록되었다. 다만 12지파중 단 지파와 스불론 지파의 계보에 대한 언급이 없는 이유는 알 수가 없다.// 더보기
역대상 6장 레위지파의 계보 역대상 6장 레위지파의 계보 Tolle Rege/역대상 2011-10-30 19:55:02 레위 지파의 계보는 다른 지파에 비해 가장 길고 자세하게 기록되고 있는데 이는 레위 지파에 대한 역대기 기자의 특별한 관심을 보여준다. 역대기 기자는 제사제도의 회복을 통하여 포로후 귀환한 공동체가 형성되는 것을 강조하였는데 제사제도 회복의 중심적 역할을 레위지파가 담당하였으므로 역대기 기자가 레위 지파의 계보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록하는 것은 자연스런 일이다. 먼저 레위의 아들중 먼저 그핫 자손의 계보에 대하여 상세하게 언급을 하고 있는데 이는 아마도 최초의 대제사장인 아론을 배출한 계보이며 또한 다윗시대 이후 엘리 계열을 대치하여 유다 왕국의 중심적 제사장 역할을 하였던 사독 계열의 중요성 때문인 것 같다. 이렇..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