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약성경/느헤미아

느헤미야 5장 가난한 백성의 원망 느헤미야 5장 가난한 백성의 원망 Tolle Rege/느헤미아 2011-10-08 15:59:16 합심하여 성벽을 재건하는 중에 이스라엘 백성 가운데 원망이 일어났다. 그것은 가난한 자들이 그들의 형제인 유다 사람들을 원망한 것인데 이는 부유한 유다사람들이 가난한 동포들에게 돈과 양식을 꾸어주면서 높은 이자를 취하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난한 자들은 포도원과 감람원과 집을 빼앗기고 심지어는 자녀를 종으로 팔아야만 하였던 것이다.이것은 에스라가 이방통혼이라는 죄악에 직면하였던 것처럼 느헤미야는 가난한 자를 착취하는 경제적 불평등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 것이다. 이 두가지 모두 하나님의 율법을 범한 죄악으로서 이스라엘의 조상때 부터 해결되지 못한 뿌리깊은 문제였던 것이다. 느헤미야는 가난한 자들의 부르짖음과 .. 더보기
느헤미야 4장 대적들의 방해 느헤미야 4장 대적들의 방해 Tolle Rege/느헤미아 2011-10-08 15:58:57 그러나 성을 재건하는 일이 순조로운 것만은 아니었다. 이스라엘의 대적 산발랏은 크게 분노하여 미약한 유다 사람들이 건축하는 것을 이루지 못할 것이라고 비웃고 욕하며 업신여겼다. 그러나 이스라엘 백성들이 마음을 들여 일을 하였으므로 성을 건축하여 전부가 연결되고 높이가 절반에 이르렀다. 산발랏과 도비야와 아라비아 사람들과 암몬 사람들과 아스돗 사람들은 예루살렘 성이 중건되고 그 허물어진 틈이 메꾸어져 간다함을 듣고 심히 분누하여 에루살렘으로 쳐둘어가서 치고 그곳을 요란하게 할 음모를 꾸미고 있었다. 느헤미야가 오기전에 이스라엘 백성들은 이렇게 대적들에게 환란을 당하고 능욕을 받으며 에루살렘 성을 중건할 엄두도 못내.. 더보기
느헤미야 3장 예루살렘 성의 재건 느헤미야 3장 예루살렘 성의 재건 Tolle Rege/느헤미아 2011-10-08 15:58:37 예루살렘의 성벽이 본격적으로 중건되는 모습이 자세히 묘사되고 있다. 예루살렘 성의 중건에는 돌아온 귀환 공동체 전체가 참여하고 있는데 대제사장 엘리아십을 비롯한 각 집안이 성벽 재건을 골고루 분담하여 일사분란하게 진행시키고 있다. 공동체를 구성하는 각 사람들이 모두 예루살렘 성을 재건하는 책임을 감당하고 있는데 마치 릴레이 경주를 하듯이 건축 공사일을 이어받아서 그 다음 그 다음 순서로 진행시키고 있는 것이다. 흥미로운 것은 성벽 중수에 대제사장을 비롯하여 금장색과 상인들까지 빠짐없이 참여하였으며 심지어는 여인들도 참여하였다는 점이다. 느헤미야의 등장으로 오랫동안 좌절되어온 예루살렘 성의 재건에 온 공동체가.. 더보기
느헤미야 2장 느헤미야와 3차 귀환 느헤미야 2장 느헤미야와 3차 귀환 Tolle Rege/느헤미아 2011-10-08 15:57:50 느헤미야는 여호와께 기도를 한 후에 아닥사스다 왕에게 청원을 하려고 작정을 하였다. 그래서 그는 왕의 술 맡은 관원으로서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을 하였는데 그것은 왕의 면전에서 자기 수심을 감추지 아니하고 예루살렘 성읍이 이제까지 황폐하고 불탔는데 어찌 얼굴에 수심이 없겠는가라고 담대히 왕에게 말한 것이다. 이런 행동은 왕의 진노를 살 수 있는 매우 위험한 행동이었지만 왕은 느헤미야에게 무엇을 원하느냐고 묻는 자비를 베풀었으니 이는 하나님께서 느헤미야의 기도를 들으신 연고일 것이다. 느헤미야는 하나님게 기도한 후 생명의 위험을 무릅쓰고 왕에게 청원을 한 것이다. 더구나 예루살렘 성읍의 중건을 중지시킨 장본인.. 더보기
느헤미야 1장 느헤미야의 기도 느헤미야 1장 느헤미야의 기도 Tolle Rege/느헤미아 2011-10-08 15:57:22 느헤미야서의 시작 연대는 아닥사스다 왕 제 20년(주전 445년)이므로 에스라가 예루살렘에 도착하여(주전 458년) 활동을 하기 시작한지 약 13년이 지난 때이다. 이 때에 제2 성전은 완공된지 70년이 이미 지났지만 아직도 예루살렘 성은 재건되지 못하고 오래전 느부갓네살에 의해 무너지고 불 탄 모습 그대로 남아있었던 것 같다. 그 이유를 에스라 4장은 아닥사스다 왕 때 방백 르훔과 서기관 심새가 아닥사스다 왕에게 이스라엘을 모함하여 성읍을 건축하고 성곽을 재건하지 못하게 하였기 때문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에스라도 아닥사스 왕의 신뢰를 받았지만 정치적으로 민감한 성벽 재건문제는 해결하지 못한 채 있었던 것 같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