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리지는 세계- 사회적 기업 이야기
2011-08-10 23:08:42
브라질 농촌에 전기를 공급하는 회사를 운영하는 파비오 호사, 컨설팅 기업 매킨지와 파트너가 되어 의료개혁 사업을 벌이는 리오의 의사 베라 코르데이루 등 정부가 해결하지 못하는 우리 사회의 여러 문제들에 대한 체계적인 솔루션을 찾아 행동으로 옮긴 사회적 기업가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옮긴이의 말
머리말_사회적 기업가들이 온다
1. 쉴 줄 모르는 사람들
2. 작은 씨앗이 거대한 나무로 자라다
3. 내 머릿속 전구는 끊임없이 반짝인다
브라질의 호사_농촌에 전기를
4. 불굴의 의지와 확고한 결단
영국의 나이팅게일_간호 혁명
5. 그에게는 강력한 '포스'가 있다
미국의 빌 드레이튼_'거품'제도의 도입
6. 왜 누구도 이런 얘기를 해주지 않았지?
7. 긴급전화 1098 -차일드라인!
인도의 제루_아이들을 구하라
8. 사회적 기업가의 역할
9. 엄마가 왜 그 모양이에요?
헝가리의 세케레시_장애인을 위한 네트워크
10. 그대 진정 아이디어에 사로잡혔는가?
11. 부딪치고 또 부딪쳐서 얻고 말지요
브라질의 코르데이루_의료서비스의 개혁
12. 사회적 기업의 문제해결 패턴을 찾아라
13. 재주꾼들이 참 많아요
미국의 슈람_저소득층 대학 보내기
14. 새로운 기회, 새로운 도전
15. 뭔가 해야만 했어요
남아프리카의 코사_에이즈와의 싸움
16. 혁신적 조직의 네가지 특성
17. 이 나라는 바뀌어야만한다
인도의 아비디_장애우를 위한 싸움
18. 성공하는 사회적 기업가가 갖춰야 할 여섯가지 자질
19. 왜 그 많은 아이들을 죽음으로 내모는가?
미국의 그랜트_아동생존혁명
20. 청사진을 카피하라
21. 맺는말_ 제 4 섹터의 출현
에필로그_희망은 어디에서 오는가?
감사의 말
정보자원가이드
찾아보기
중요한 변화는 종종 한 사람에게서 시작된다!
빌 드레이튼은 전 세계에서 선도적인 위치에 있는 사회적 기업가들을 지원하는 단체를 만들겠다는 결심을 하고 아쇼카재단을 설립했다. 아쇼카는 2006년까지 전 세계 68개 국가 1820명의 사회적 기업가들에게 6500만 달러에 달하는 자금을 직접 지원했다. 아쇼카는 "신중하고 목적있는 투자를 통해 최대의 이윤을 추구하는" 벤처 캐피탈이지만 금전적 수익이 아니라 교육, 환경보호, 지역개발, 빈곤 완화 등 제반 사회 분야에서 실질적인 개선효과를 보는 것을 이익으로 생각한다. - 알라딘
빌 드레이튼은 전 세계에서 선도적인 위치에 있는 사회적 기업가들을 지원하는 단체를 만들겠다는 결심을 하고 아쇼카재단을 설립했다. 아쇼카는 2006년까지 전 세계 68개 국가 1820명의 사회적 기업가들에게 6500만 달러에 달하는 자금을 직접 지원했다. 아쇼카는 "신중하고 목적있는 투자를 통해 최대의 이윤을 추구하는" 벤처 캐피탈이지만 금전적 수익이 아니라 교육, 환경보호, 지역개발, 빈곤 완화 등 제반 사회 분야에서 실질적인 개선효과를 보는 것을 이익으로 생각한다. - 알라딘

그들은 딱 맞는 솔루션을 알고 있다 !
놀랍게도 사회적 기업가들은 돈과 지성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문제들을 한발짝 진전시키는 데 선수다. 그라민은행을 설립한 유누스는 비용효과에 기초한 무담보 소액신용대출을 어떻게 가난한 시골사람들에게까지 체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수 있는가를 보여줌으로써 금융이론에 도전장을 내밀었고, 그 도전장은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킬 만큼 강력했다. 7만 7000개 마을, 710만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그라민은행에서 대출을 받았다.
놀랍게도 사회적 기업가들은 돈과 지성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문제들을 한발짝 진전시키는 데 선수다. 그라민은행을 설립한 유누스는 비용효과에 기초한 무담보 소액신용대출을 어떻게 가난한 시골사람들에게까지 체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수 있는가를 보여줌으로써 금융이론에 도전장을 내밀었고, 그 도전장은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킬 만큼 강력했다. 7만 7000개 마을, 710만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그라민은행에서 대출을 받았다.

기업의 세계에도 변화가 왔다!
'비영리 세계벤처펀드'인 어큐먼펀드는 소외지역 사람들에게 깨끗한 물, 건강제품, 적정가격의 주택을 제공하는 회사들에게 2000만 달러를 투자했다. AOL의 창업자 스티브 케이스는 '소비자를 건강시스템의 중앙에'라는 구호를 실현하기 위해 '혁명건강'을 창업했다.
스위스에서는 다보스포럼의 창립자인 클라우스 슈밥과 그의 부인이 전 세계의 뛰어난 사회적 기업가들을 지원하기 위한 기구 '사회적 기업가를 위한 슈밥재단'을 세웠다. 슈밥재단은 다보스포럼에 사회적 기업가들을 초청해 여러 국제기구 수뇌들을 만나는 기회를 마련해준다.
'비영리 세계벤처펀드'인 어큐먼펀드는 소외지역 사람들에게 깨끗한 물, 건강제품, 적정가격의 주택을 제공하는 회사들에게 2000만 달러를 투자했다. AOL의 창업자 스티브 케이스는 '소비자를 건강시스템의 중앙에'라는 구호를 실현하기 위해 '혁명건강'을 창업했다.
스위스에서는 다보스포럼의 창립자인 클라우스 슈밥과 그의 부인이 전 세계의 뛰어난 사회적 기업가들을 지원하기 위한 기구 '사회적 기업가를 위한 슈밥재단'을 세웠다. 슈밥재단은 다보스포럼에 사회적 기업가들을 초청해 여러 국제기구 수뇌들을 만나는 기회를 마련해준다.
놉랍도록 밝은 희망을 전해주는 빛나는 책이다. 여기 나오는 사회적 기업가들의 매혹적인 이야기는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보려는 사람들에게 크나큰 용기를 줄 것이다 - 넬슨 만델라

칼 마르크스는 저 유명한 '공산당 선언'에서 "전 유럽에 유령이 떠다니고 있다. 바로 공산주의의 유령이"라고 선언했다. 21세기 초반의 오늘 또 다시 "전 세계에 유령이 떠다니고 있다. 바로 사회적 기업의 유령이"라고 나는 말해야겠다. 지금 전 세계에서 돈도 벌면서 그 과정과 결과로 인해 세상의 좋은 변화를 만들어 내는 사회적 기업들이 우후죽순 솟아나고 있다. 데이비드 본스타인의 이 책은 바로 이러한 사회적 기업들이 지금까지 우리가 알아왔던 세상과는 다른 세상을 만들어내는 다양한 사례들을 소개하고 있다. 그 사례들이 전염병처럼 번져 이 땅과 온 세상에 희망의 빛이 되기를 바란다. - 박원순(희망제작소 상임이사)

사회적 기업. 이것은 아직 우리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이름이다. 그러나 이미 수많은 분야에서 수많은 실천가들에 의해서 열정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것 또한 현실이다. 이 책의 저자 D. 본스타인이 소개하는 10명의 '변화의 창조자(changemaker)'는 이윤과 공공성 사이의 장벽을 허물고 삶의 변화와 사회의 변화를 동시에 이끌어내기 위한 전위적 실천을 보여주고 있다. 그들의 개별적 경험이나 그 경험들의 모자이크 집합으로부터 제4섹터로서의 대안적 솔루션을 이끌어 내기가 물론 쉽지 않다. 그러나 반성해야 할 것은 오히려 우리들의 기계적 사고와 성급함이다. 구체성, 특수성, 그리고 최대한의 창조성이야말로 사회운동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 신영복(성공회대 교수)

요즈음 공공성을 추구하는 기업들이 활발하게 움직인다. 그런 '사회적 기업'들은 정부와 시장의 장점들을 함께 추구한다. 현대 사회의 문제들은 정부나 시장에 의해 쉽게 풀리지 않으므로, '사회적 기업'들은 큰 관심과 열렬한 지지를 받았다. <달라지는 세계>는 이 야심 찬 움직임에 대한 좋은 안내서다. - 복거일(사회평론가, 소설가)

이 책을 통해 세계 곳곳에서 활동하는 사회적 기업가들을 구체적으로 알게 되었다. 머지않아 중요한 직업으로 떠오를 사회적 기업가들의 사례를 보면서 나는 감동을 넘는 '떨림'을 경험하였고 그 '떨림'은 사회적 기업가들을 흉내 내고 싶은 나의 욕망에서 비롯되었다. 주변 사람들을 조금씩 바꿔나가면서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던 내게 이 책은 더 큰 변화에 대한 도전을 꿈꾸게 한다. 어쩌면 이 책이 '내 인생의 우선순위'를 바꿀지도 모르겠다. - 손혜원(크로스포인트 대표)
'서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언 - 김성수 (0) | 2023.05.17 |
---|---|
휴머노믹스- 인간중심의 새로운 경제학 (0) | 2023.05.17 |
그라민 은행 이야기- : 무함마드 유누스 (0) | 2023.05.17 |
복음이란 무엇인가? - 윤종하 (0) | 2023.05.17 |
하나님의 나라- 윤종하 (0) | 2023.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