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소고

동서방 교회의 분열과 십자군 전쟁

메르시어 2023. 5. 6. 11:36

동서방 교회의 분열과 십자군 전쟁

2014-09-24 17:36:46


 

 서방 교회와 동방교회는 수세기 동안 다툼을 벌여왔지만 그 가운데서도 분리되지는 않았다. 그런데 9세기에서 13세기 사이에 발생한 세가지 불행한 사건으로 인하여 두 교회는 완전히 분리되고 말았다.

 

 첫번째 사건은 필리오케 논쟁이다. 동방 서방 교회는 니케아 신조를 공히 받아들였는데 니케아 신조에 성령은 아버지께로부터 나온다는 대목을 성령은 아버지와 아들로 부터 나온다고 서방교회가 수정하였다. 이러한 수정은 기독론에 치중하고 성령론에 빈약한 서방 교회의 신학적 경향을 반영한 것이었다. 특히 어거스틴은 성령을 아버지와 아들을 하나로 묶는 띠 정도로만 이해하였다. 이에 반해 동방교회는 성령론이 발전되어 있었고 성령을 통한 인간의 신화 신학까지 발전하였다. 이렇게 성령을 제3위로 격하시키 수정안을 동방교회는 당연히 반대하였다. 867년에 콘스탄티노플 주교 포티우스는 필리오케를 탄핵하였는데 5년후 로마 주교는 필리오케는 뻬는 대신에 로마 주교를 나른 교회보다 우월한 최고의 지위로 인정해야 한다는 조건을 제안했는데 포티우스는 일언지하에 거절하였다. 이로인해 두 교회간에는 틈이 생기기 시작하였다.

 

  두번째 사건은 1054년에 벌어진 두 교회간의 충돌이었다. 콘스탄티노플의 새로운 주교 미카엘은 서방교회의 주교 부르노를 교황으로 인정하지 않을 뿐 아니라 콘스탄티노플안에 로마 주교에게 충성하는 교회를 폐쇄하였다. 이에 부루노는 훔버트를 사절로 파견하여 화평을 청하였는데 이때 부르노의 교서에는 동방 교회가 성직자들의 결혼을 허락하고 로마에서 온 신자들에게 다시 세례를 베풀었다는 거짓 비방이 적혀있었다.  이 두 사건으로 두 교회의 틈은 더욱 벌어지고 말았다 그러나 세번째 사건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그 틈은 메워졌을지도 모른다.

 

  교회의 분열에 결정타를 날린 세번째 사건은 바로 십자군 전쟁이었다.  6세기에 아라비아 메카에서 발흥한 이슬람교는 아라비아와 시리아 그리고 아프리카는 차례로 정복하고 638년에는 예루살렘을 711년에는 포르투갈과 스페인마저 정복했다. 이슬람 교도들은 정복지의 다른 종교를 믿는 자들에게도 일정한 자유를 허락했고 이 때문에 단성론을 믿는다는 이유로 배척당하던 시리아와 북아프리카의 많은 교회들이 자진하여 자신들의 교회를 이슬람 사원으로 바꾸었다. 이슬람이 예루살렘을 정복한지 400년 후인 1095년에  로마주교 우르반 2세는 성지 회복 운동을 일으킨다. 이것이 바로 십자군 운동인데 이것은 성지회복을 위해 이교도와의 전면전을 의미했다. 십자군이 콘스탄티노플에 집결하여 1차 원정이 시작된다.. 4년후인 1099년 십자군은 드디어 예루살렘을 되찾았지만 이 가운데 셀 수 없는 유대인과 이슬람교도들이 무차별 학살을 당하였다.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자행된 이 무차별 학살이 유대인들과 이슬람교도들이 지금까지고 기독교를 증오하는 가장 결정적인 이유가 되었다. 

 

  동서방 교회의 분열에 결정타를 날린 것은 제 4차 십자군 원정때 벌어진 사건이었다. 1198년에 로마 주교 인노센트 3세는 4차 십자군 원정을 일으키는데 목표는 이집트에 있는 이슬람의 근거지를 공격하려는 것이었다. 당시 베니스의 상인들은 돈을 받기로 하고 4차 십자군 원정대에게 배를 빌려주었는데 1202년 베니스에 원정대가도착하였을 때 원정체 참가하기로 한 십자군의 2/3가 불참함으로써 약속한 배삯을 줄 수가 없는 처지가 되어 버렸다. 이때 동방제국의 왕자 하나가 십자군 원정에 필요한 자금을 댈 것을 제안하면서 동방 제국의 현 황제 폐위를 조건으로 내걸었다. 인노센트 3세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십자군 원정대는 1203년 콘스탄티노플을 공격했고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성당을 노략질 하고 동방교회의 형제들을 잔혹하게 살해하고 강간했다. 이 사건이후 동서방 교회는 영구히 분열되었다.

 

 

질문 1.

 

예루살렘이 이슬람에 정렴당한지 400년이나 지났는데 로마주교 우르반 2세가 갑자기 성지 회복을 위한 십자군 운동을 일으킨 이유는 무엇인지요? 

 

질문 2

 

십자군 운동을 일으킨 장본인이 로마 주교였는데 4차 원정의 경우 로마 주교가 원정대를 전혀 통제할 수 없었던 이유는 무엇인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