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 나라란 무엇인가? - 리챠드 프렛
2013-11-27 01:10:05
WHAT IS THE KINGDOM OF GOD? by Dr. Richard L. Pratt, Jr
The kingdom of God (also called "the kingdom of heaven," "the kingdom of Christ," "the kingdom of the Lord," "the kingdom," etc.) undergirds the teaching of the entire Bible. The Scriptures reveal God using a number of metaphors, but the primary imagery which biblical writers used for God was that of a divine King (e.g. 1 Sam 8:7). Alongside the basic conviction that God is the supreme King is the belief that he reigns over creation as his kingdom (Pss 47:1-9; 83:18; Dan 4:25-26; 5:21). In this general sense then, God has always been the sovereign reigning King who rules in heaven over all things (Pss 103:19; 113:5; Matt 5:34; Eph 1:20; Col 1:16; Heb 12:2; Rev 7:15).
하나님의 나라( 또는 하늘 나라, 그리스도의 나라, 주의 나라, 나라..등)는 성경 전체의 근본적인 교훈이다. 성경은 하나님을 여러가지 은유로 계시하는데 성경 기자들이 주로 사용한 하나님에 대한 표상은 신적인 왕(예, 삼상 8:7) 이다. 하나님의 지고의 왕이시라는 기본적 확신과 함께 하나님이 그의 나라인 모든 피조물을 다스리신다는 믿음이 있다.(시 47:1-9, 83:18, 단 4:25-26, 5:21) 일반적인 의미에서 하나님은 하늘에서 만물을 다스리시는 절대적 왕이시었다.
The biblical concept of the kingdom of God also occasionally takes on a special sense. Jesus described this narrower sense of the kingdom of in this way: "Your kingdom come, your will be done on earth as it is in heaven" (Matt 6:10). God's holiness and glory in his heavenly throne room is so overwhelming that all creatures there honor him with unqualified voluntary service. on earth, however, creatures rebel and refuse to acknowledge God as King, and evil kingdoms rise up to oppose God's Kingdom. The hope that Scripture presents from cover to cover is that this disparity between the heavenly throne room and earth will be eliminated one day (1 Chr 16:31). God will judge the wicked and bring redeemed humanity into a new creation (Isa 65; Zech 14). When this transformation takes place, only God's kingdom will stand and voluntary obedience to him will extend to the ends of the earth as it does in heaven (1 Chr 16:31; Ps 97:1-2).
하나님나라에 대한 성경적 개념은 종종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예수님은 하나님나라의 좁은 의미를 이런 식으로 묘사하셨다 : "당신의 나라가 임하옵시며, 뜻이 하늘에서 이룬 것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마6:10)하늘 보죄에서 하나님의 거룩함과 영광은 너무나 압도적이어서 거기의 모든 피조물은 전폭적인 자발성으로 하나님을 섬긴다. 그러나 지상에서는 피조물들은 하나님을 왕으로 인정하길 거부하고 반역하며 악한 나라가 일어나 하나님의 나라를 대적한다. 천상의 보좌와 지성 사이의 이런 차이가 어느날 제거된다는 것이 성경이 일관되게 제시하는 희망이다..(고전 16:31) 하나님은 악인을 심판하시며 구원받은 자를 새로운 피조물로 만드실 것이다.(사 65, 슥 16:31) 이런 변화가 일어날 때 오직 하나님의 나라만이 세워지며 하늘에서와 같이 온 땅의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하나님께 순종할 것이다.(고전 16:31, 시97:1-2)
The Scriptures reveal, however, that God determined to accomplish this end through a lengthy historical process. With the choice of Abraham and his descendants as God's special people (Exod 3:6-7; 6:2-8), the kingdom of God was primarily limited to the people and land of Israel. God asserted his kingship on earth when he delivered Israel from the Egyptian empire and brought her to the Promised Land (Exod 15). Under David and Solomon, Israel itself became a defined territory with the sons of David sitting on the throne of God as his vice-regents (1 Chr 29:23; 2 Chr 6), and with God's royal footstool in the temple (1 Chr 28:2). This ethnically and geographically limited form of the Kingdom was not an end in itself. on the contrary, Old Testament Israel was established as a stage from which the kingdom of God would eventually extend to all peoples and lands of the earth (Gen 17:17-18; 18:18; Rom 4:13-17).
그러나 하나님은 장구한 역사적 과정을 통하여 이 목적을 성취하시글 작정하셨다고 성경은 계시한다. 아브라함과 그의 후손을 하나님의 특별한 백성으로 선택하심으로 (출 3:6-7, 6:2-8) 하나님의 나라는 주로 이스라엘 민족과 땅에 국한되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애굽에서 구원하시고 약속의 땅으로 인도하심으로 지상의 왕권을 행사하시었다. 다윗과 솔로몬 시대에 이스라엘은 다윗의 자손이 하나님의 보좌에 대리 통치자로 앉아서 (대상 29:23, 대하6) 다스리며 성전에는 하나님을 모신 일정한 지역국가가 되었다. (대상 28:2) 하나님나라가 민족과 지역으로 제한된 형태는 궁극적인 것이 아니다. 오히려, 구약 성경의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나라가 궁극적으로 모든 민족과 온 땅에 확장되는 단계로서 세워진 것이다.(창17:17-18, 18:18, 롬4:13-17)
The flagrant rebellion of Israel and Judah eventually hurled the kingdom of God in Israel into crisis. Yet, the Old Testament announced that after the exile God would remove the wicked from the earth, and establish his reign without opposition over the entire earth (Mal 4). At that time, full obedience to God would spread to the ends of the earth, reaching both Jews and Gentiles (1 Chr 16:23-36; Isa 52:7-15; Pss 67, 97). The New Testament teaches that this final worldwide stage of the kingdom of God began with the incarnation of Christ. He and John the Baptist announced the good news that the Kingdom was at hand (Matt 3:2; 4:17; Mark 1:15). But contrary to common Jewish expectations, Jesus and his apostles explained that the worldwide reign of God on earth would not come immediately in all of its fullness. Instead, Christ inaugurated this final stage of the kingdom in his earthly ministry (Matt 2:2; 4:23; 9:35; 27:11; Mark 15:2; Luke 16:16; 23:3; John 18:37). It continues today in the church (Matt 24:14; Rom 14:16-17; 1 Cor 4:19-20; Col 4:11), but it will reach its ultimate end when Christ returns in glory (1 Cor 15:50-58; Rev 11:5). When that day finally comes, the will of God will be done throughout the earth just as it is done in heaven. A study of the biblical references and the subsequent illustration can help our understanding of this major doctrine.
이스라엘과 유다의 노골적인 반역으로 말미암아 이스라엘이란 하나님의 나라는 결국 위기에 빠졌다. 그러나 구약 성경은 이스라엘의 유배가 끝나고 나면 하나님은 세상의 악을 제거하시며 온 땅에 대적할 자가 없는 하나님의 통치를 세우실 것이라고 선포한다. (말4) 그 때에 유대인과 이방인에 이르기까지 온 세상이 온전히 하나님을 순종할 것이다.(대성 16:23-36, 사 52:7-15, 시67, 97) 신약성경은 하나님이 세상의 이러한 최종적인 단계를 그리스도의 성육신으로 시작하셨다고 기르친다. 그리스도와 세례자 요한은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왔다는 복음을 선포하였다.(마3:2, 4:17, 막1:15) 그러나 유대인들의 일반적인 기대와는 달리, 예수님과 그의 사도들은 온 세상을 다스리는 하나님의 통치가 즉각적이고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설명하였다. 대신에 예수님은 자신의 지상사역을 통하여 그 나라의 최종적 단계의 시작을 알리셨다.(마 2:2, 4:23, 27:11, 막15:2, 눅16:16, 23:3, 요18:37) 그것은 오늘날 교회를 통하여 계속되다가 예수님이 영광중에 재림하실 때 최종 목적지에 도달할 것이다. 그날이 마침내 도래하였을 때, 하나님의 뜻은 하늘에서 이룬 것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질 것이다. 성경의 침고구절을 연구하고 아래의 그림 설명을 보면 이 중요한 교리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Broad meaning: Pss. 103:19; 113:5; Matt. 5:34; Eph. 1:20; Col. 1:16; Heb. 12:2; Rev. 7:15
Narrow meaning: 1 Chr. 16:31; Ps. 97:1-2; Matt. 6:10.
Inauguration: Matt. 2:2; 4:23; 9:35; 27:11; Mark 15:2; Luke 16:16; 23:3; John 18:37
Continuation: Matt. 24:14; Rom. 14:16-17; 1 Cor. 4:19-20; Col. 4:11
Consummation: 1 Cor 15:50-58; Rev 11:5

'서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개혁되었는가? - 손성은 (0) | 2023.05.01 |
---|---|
칼빈주의 vs 알미니안 - 제임스 보이스 (0) | 2023.05.01 |
개혁신학은 언약신학이다- 리챠드 프렛 (0) | 2023.05.01 |
창조와 구원의 목적- 박기완 (0) | 2023.05.01 |
두 왕국 논쟁의 조명 by John Bolt (0) | 2023.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