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빈의 언약사상- 피터.A 릴벡
2013-10-02 23:39:33
원제 : The Binding of God
by Peter A. Lillback 2001
역자 서문에서 - 원종천
이 책은 칼빈의 예정론과 하나님 주권 사상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상호적이고
쌈무적인 언약관계가 칼빈 신학의 기반을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01장 칼빈의 언약 사용에 대한 상충되는 해석들
칼빈의 언약 개념에 대한 가장 보편적 관점은 칼빈의 신학이 언약신학과 근본적으로 정반대라는 주장이다.
그 관점에 따르면 청교도들은 칼빈의 신학체계에 언약 교리를 강요하요 제네바에서 가르친 것과는 전혀 다른 철학을 만들어 냈다는 것이다.
02장 중세 말 사회와 신학의 언약개념
03장 마틴 루터 신학에 나타난 언약
04장 취리히와 스트라스부르크 종교개혁에 나타난 언약개념의 출현
05장 창세기 17장에 나타난 언약의 주석- 비텐베르크와 스위스 종교개혁사이의 해석학적 분수령
06장 칼반의 언약 개념
07장 칼빈의 언약사상에 나타난 연속성과 불연속성
08장 언약의 상호성과 조건성에 대한 칼빈의 견해
09장 그리스도와 구원의 언약적 유익
10장 자비언약 안에 있는 울법과 복음의 동의- 칼빈이 사용한 스콜라주의 수용언약
11장 칼빈의 신학에 나타난 언약, 예정, 그리고 위선
12장 언약파기, 종교개혁, 그리고 저항
13장 언약의 성례적 배경
14장 언약 파기와 그리스도인의 삶
15장 칼반의 신학에 행위언약이 있는가?
16장 결론
언약 개념은 칼빈이 그의 종교개혁의 노고를 시작하기 전에 이미 개혁주의 신학의 중요한 원칙이 되어있었다. 칼빈의 언약 용어는 불링거의 것이다. 킬빈은 언약의 기본적 중요성이 하나님이 주권적으로 자신을 비하하심으로 안간과 자신을 묶으시는 것이라고 믿는다. 그 대신 인간은 하나님을 향해 그들의 믿음과 순종을 수행해야 하는 것이다. 칼빈은 구속사 전체에 오직 하나의 언약이 있다는 것에 불링거와 동의한다. 언약이 하나라는 말은 그 본질이 하나라는 것이고 그 외적 집행 방식에서는 다르게 나타난다.
칼빈은 인간의 행위를 언약적 유익 관점에서(언약적 반응으로서의 행위라는 의미) 하나님께 드렸을 때 하나님이 인간 행위를 의롭다고 수용하신다고 믿는다. 칼빈은 이것을 율법의 약속이 복음의 약속과 동의하는 것으로 말한다. 칼빈은 중세 스콜라주의자들의 수용언약 개념을 공로관점이 아닌 칭의와 성령에 의한 종속적 의로움의 개념으로 발전시켰다. 칼빈은 스콜라주의의 인간행위 수용 개념을 언약적 표현으로 발전시킨 것이다. 이런 점에서 칼빈은 중세 스콜라주의자들의 언약교리와 후기 칼빈주의 언약신학자들의 언약교리 사이에 역사적 교량역할을 하였다고 볼수 있다.
칼빈은 믿음이 칭의의 유일한 수단이라는 것과 하나님 앞에서 모든 인간 행위의 비공로적 성격에 대해 루터와 동의하며 스콜라주의자들에 반대한다. 반면에 칼빈은 하나님은 언약에 의해 인간의 행위를 받으실 수 있다는 사실에 스콜라주의자들과 동의하며 루터에 반대한다. 그러므로 하나님이 인간의 행위를 수용하신다는 칼빈의 가르침은 중세전통과 루터의 중간 입장이다.
칼빈의 예정교리는 언약 교리와 반대되지 않고 오히려 통합되어 있다. 칼빈에게 언약은 구원을 확실하게 보장해주는 은밀한 선택이 아니라 언약 유익의 약속을 제공하는 일반적 선택이다. 그러므로 언약은 하나님에 의해 거부된 자들과 택함을 받은 자들사이에 있는 중간적 범주를 형성한다. 후에 불신앙과 불순종으로 언약을 파기하는 위선자는이 중간 범주에서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언약안에 있는모든 자가 구원을 받는 것이 아니다.
칼빈은 언약신학의 창시자가 아니다. 이 명예는 츠빙글리에게 가야한다. 킬빈은 또한 언약신학의 첫 패러다임을 기획한 자도 아니다. 이 수훈은 불링거에게 가야 한다. 그럼에도 칼빈은 언약 개념을 그의 신학적 체계에 광범위하에 통합한 초기 신학자들 중에서 첫번째 인물이다. 그러므로 개혁주의 언약신학의 존재는 여러 측면에서 칼빈의 덕이다.
'서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빈의 언약사상- 이차식 (0) | 2023.05.01 |
---|---|
개혁주의란 무엇인가? -문병호 (0) | 2023.05.01 |
하이델베르그 요리문답과 언약사상- 김재성 (0) | 2023.05.01 |
시편의 언약사상과 예언적 기능- 송영찬 (0) | 2023.05.01 |
루터의 오해(What Luter Got Wrong) -David C.Steinmetz (1) | 2023.05.01 |